산신제에 대하여 우리민족의 전통과 생활풍습은 수천년 이어져 내려온 제사나 천제, 산신제를 보면 우리민족이 얼마나 효(孝)를 중요시하였는지를 알 수있다. 제례를 지낼시에 분향과 촛불에도 의미가 깊다. 우리의 옛 경전에 "향시(香時)에 이르기를 "향로 하나를 마음에 새긴 정성으로 받들어 올리고 져.. 동양철학 2012.11.30
[스크랩] [기획전 전설의 용을 만나다] 용의 형상[모양] 용의 형상 상상의 영수(靈獸)인 용의 존재는 많은 문명에서 발견된다. 지역이나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나지만 거대한 뱀이나 도마뱀과 닮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한국ㆍ중국 등 동아시아에서는 몸에 비늘이 있고 네 개의 발에 날카로운 발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묘.. 동양철학 2012.07.25
[스크랩] 성씨오행속성표 성씨 오행 속성표 金(금) 俆(서)成(성)黃(황)元(원)韓(한)南(남)張(장)柳(류)申(신)安(안)梁(량)蔣(장)方(방)杜(두) 河(하)白(백)楊(양)片(편)慶(경)郭(곽)盧(노)裵(배)文(문)王(왕)班(반)陰(음)晋(진)邵(소) 木(목) 金(김)趙(조)朴(박)崔(최)劉(유)孔(공)高(고)車(차)康(강)劉(유)廉(염)朱(주)陸(.. 동양철학 2012.07.23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소금, 부정을 씻어주고 변질을 막아준다 소금, 부정을 씻어주고 변질을 막아준다 인간은 날 때부터 생을 마친 후까지 소금의 주력과 그 신앙에 의지한다. 산기가 있으면 소금과 정화수를 차리며 숨을 거둔 뒤에도 사자상에 소금을 진설하고 시신의 배꼽에 소금을 놓아둔다. 소금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 보전하는데 필요한 음식물..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무당은 왜 오방기를 사용 하는가 무당은 왜 오방기를 사용 하는가 오방기는 우리의 토착 신앙인 무교의 신당에서 점사 또는 굿을 할 때 사용하는 하나의 무구이다. 모시는 신에 따라서 대감기, 혹은 장군기라 부르기도 한다. 오방기의 유래는 주장하는 이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그 공통점을 간추려 보면, 옛날 태..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한식날과 무속의 관계 한식날과 무속의 관계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 양력으로는 4월 5일 무렵이다. 2월 한식이 있고 3월 한식이 있는데 2월에 한식이 드는 해는 세월이 좋고 따뜻하다고 여기며, 3월에 한식이 있으면 지역에 따라서 개사초를 하지 않는다. 그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초와 향에 대하여 초와 향에 대하여 초는 예로부터 어둠을 몰아내고 앞을 밝혀준다 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종교의식이나 집회를 비롯하여 각종 의식에 널리 사용되어왔다. 초가 사용되기 전에는 횃불이나 등잔이 주를 이루었으나 밀랍으로 초를 만든 방법이 생긴 이후로는 초가 매우 중요하고도 널리 보..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길흉의 판단은 어떻게 하나?? 길흉의 판단은 어떻게 하나?? 예부터 사람의 길하고 흉한 운명은 천지조화로 이루어 진다고 해서 불가사의한 문제로 생각 되어 왔다. 원래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여 생각하는 동물로 자처해 왔으나 역시 피조물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운명에 대해서는 판단하기가 어려운 봅.. 동양철학 2012.04.11
81수리(41-81) 81수리(41-81) 41획 대공격(大功格), 건전운(健全運), 고명운(高名運) 吉 준수하고 영리하며, 선견지명이 있다. 부귀, 명예, 덕이 따르며 발전하고 장수한다. 지도자격 수리다. 여명은 현모양처의 수리이나 눈이 높아 혼기를 놓칠 수도 있다. 42획 고행격(苦行格), 불성운(不成運), 수난.. 동양철학 2011.12.06
81수리학(1~40) 81수리(1-40) 1획 기본격(基本格), 기본운(基本運), 두수격(頭首格) 吉 1은 만물의 시작과 출발을 의미하는 수이며 최대의 길수다. 우주 본연의 수. 태극의 수. 모든 수의 으뜸. 시작과 출발. 건강하고 온건착실. 큰 뜻을 성취하고 발전, 성공하여 부귀영화(富貴榮華)가 따르며 행복하고.. 동양철학 201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