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16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소금, 부정을 씻어주고 변질을 막아준다

소금, 부정을 씻어주고 변질을 막아준다 인간은 날 때부터 생을 마친 후까지 소금의 주력과 그 신앙에 의지한다. 산기가 있으면 소금과 정화수를 차리며 숨을 거둔 뒤에도 사자상에 소금을 진설하고 시신의 배꼽에 소금을 놓아둔다. 소금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 보전하는데 필요한 음식물..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무당은 왜 오방기를 사용 하는가

무당은 왜 오방기를 사용 하는가 오방기는 우리의 토착 신앙인 무교의 신당에서 점사 또는 굿을 할 때 사용하는 하나의 무구이다. 모시는 신에 따라서 대감기, 혹은 장군기라 부르기도 한다. 오방기의 유래는 주장하는 이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그 공통점을 간추려 보면, 옛날 태..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한식날과 무속의 관계

한식날과 무속의 관계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 양력으로는 4월 5일 무렵이다. 2월 한식이 있고 3월 한식이 있는데 2월에 한식이 드는 해는 세월이 좋고 따뜻하다고 여기며, 3월에 한식이 있으면 지역에 따라서 개사초를 하지 않는다. 그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초와 향에 대하여

초와 향에 대하여 초는 예로부터 어둠을 몰아내고 앞을 밝혀준다 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종교의식이나 집회를 비롯하여 각종 의식에 널리 사용되어왔다. 초가 사용되기 전에는 횃불이나 등잔이 주를 이루었으나 밀랍으로 초를 만든 방법이 생긴 이후로는 초가 매우 중요하고도 널리 보..

동양철학 2012.04.11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길흉의 판단은 어떻게 하나??

길흉의 판단은 어떻게 하나?? 예부터 사람의 길하고 흉한 운명은 천지조화로 이루어 진다고 해서 불가사의한 문제로 생각 되어 왔다. 원래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여 생각하는 동물로 자처해 왔으나 역시 피조물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운명에 대해서는 판단하기가 어려운 봅..

동양철학 201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