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은 왜 오방기를 사용 하는가
오방기는 우리의 토착 신앙인 무교의 신당에서 점사 또는 굿을 할 때 사용하는 하나의 무구이다. 모시는 신에 따라서 대감기, 혹은 장군기라 부르기도 한다.
오방기의 유래는 주장하는 이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그 공통점을 간추려 보면, 옛날
태호 복희씨 때에 석역팔궤의 오행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고구려 사신도에서 유래를 찾는 설 등으로 정리 할 수 있다. 토착신앙과 달리 고려시대에 왕의 행차 시에 의장기 용도로 사용 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는 종교적 의미보다 군사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토착신앙에서 무당들이 오방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오방기를 뽑아 일반인에게는 운수를, 무당 자신에게는 모시는 신령을 나타내 준다고 한다.
오방기의 의미는 언어 자체에 나타나듯, 다섯 방향의 방위를 의미하며, 아울러 다섯 가지의 색으로 구분된다. 즉, 적색, 백색, 황색, 녹색(검정색), 청색이다.
이 다섯 가지의 색은 각각 그 색에 따라 길흉화복과 죽음, 조상, 신령을 의미한다.
색에 따라 그 의미를 구분해 보면,
첫째, 적색은 길하고 복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하며, 방향은 남쪽을 뜻하고, 신령을 모시는 제자를 의미한다.
둘째로 백색은 뒤를 밝혀 준다거나 상이 들어온다는 의미이고, 방향은 서쪽, 천신이아 용신을 모시는 제자를 의미한다.
셋째, 황색은 구설이나 묘탈, 조상탈을 나타내며, 방향은 중앙, 대신제자를 의미한다.
넷째는 초록색 혹은 검정색으로, 우환을 나타내고, 방향은 북쪽이고, 영을 잘 받아야 하는 제자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청색인데, 가장 나뿐 점궤로 여긴다. 방향은 동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뽑은 오방기의 종류가 무엇이냐에 따라 길흉을 판단하고, 무당 자신이 모실 신령이 정해지기도 하여 토속신앙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사용 되었다. 오방기는 오늘날에도 무당이 점궤나 굿을 할 때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고, 깃발 외에도 무당의 복색이나 천 등에도 그 형태를 찾아 볼 수 있다.
기의 색에 따라서 그 의미가 각각 정해지지만, 반드시 위에서 언급한 의미만을 상징하는 것은 아니다. 일정하게 정해진 틀이 없다는 것이다. 해석하는 이에 따라 혹은 받는 이에 따라 얼마든지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깃발이 상징하는 의미가 무의미하다는 말은 아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각자의 처지에 따라 겸허한 마음으로 순리대로 정성을 다하여 모시고 행하는 마음가짐일 것이다.
'동양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씨오행속성표 (0) | 2012.07.23 |
---|---|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소금, 부정을 씻어주고 변질을 막아준다 (0) | 2012.04.11 |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한식날과 무속의 관계 (0) | 2012.04.11 |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초와 향에 대하여 (0) | 2012.04.11 |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길흉의 판단은 어떻게 하나?? (0) | 201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