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날과 무속의 관계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 양력으로는 4월 5일 무렵이다. 2월 한식이 있고 3월 한식이 있는데 2월에 한식이 드는 해는 세월이 좋고 따뜻하다고 여기며, 3월에 한식이 있으면 지역에 따라서 개사초를 하지 않는다.
그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춘추시대에 자신의 신조를 지키려다가 억울하게 불에 타죽은 개자추라는 인물을 기리기 위해 찬 음식만 먹었다는 데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개화 의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원시 사회에서는 모든 사물이 생명을 가지고 있다고 여겼으며, 그러기에 불도 생명이 있기에 탄생과 소멸이 있다고 보았다. 즉 한식이란 오래된 불은 가고 새로운 불이 붙는 과도기란 설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한식과 연등 날짜가 겹치므로 연등 날짜가 겹치므로 연등을 다른 날로 바꾸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하나의 명절로 자리 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세종 때에 한식 사흘간 불을 금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민간에서는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지냈으며 농가에서는 이날을 기하여 밭에 파종하였다. 또한 손 없는 날 또는 귀신이 꼼짝 않는 날로 여겨 산소에 손을 대도 탈이 없는 날이라고 했다. 그래서 묘에 개사초를 하거나 비석 또는 상석을 세우기도 하고 이장을 하기도 했다.
한식날은 또한 농사를 준비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소의 상태를 살피기 위해 소를 부려보기도 하고, 볍씨를 담그고, 강원도 지역에서는 과일나무의 벌어진 가지 사이로 돌을 끼워 넣는 나무 장가보내기를 하는데, 열매를 잘 열리게 하기 위해서이다.
'동양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소금, 부정을 씻어주고 변질을 막아준다 (0) | 2012.04.11 |
---|---|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무당은 왜 오방기를 사용 하는가 (0) | 2012.04.11 |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초와 향에 대하여 (0) | 2012.04.11 |
[스크랩] [무당, 무속, 무속인 굿당, 무속신문, 무교, 무교교단] 길흉의 판단은 어떻게 하나?? (0) | 2012.04.11 |
81수리(41-81) (0) | 2011.12.06 |